뉴스
가장 많이 본 뉴스
더보기
HOME > 뉴스 > 뉴스종합

트위터아이콘 페이스북아이콘

1.jpg
1. 제이엠씨코리아 김배섭 대표, 한국의 주얼리제조업체 7개 업체가 참여해 구성한 주얼리제조업협의회로 한주연 지역연고사업(RIS)의 성공사례로 꼽히고 있다.
 
2.jpg
2. 금정의 김병조 대표, 금정은 목걸이, 팔찌, 귀걸이 등 18K 주얼리 빈틀(마운틴)제품을 전문으로 수출하고 있다.
 
3.jpg
3. 키웨스트 강호중 대표, 내츄럴 젬스톤주얼리의 리더로 불리는 키웨스트는 매년 천연보석을 소재로한 핸드메이드 목걸이와 팔찌 등을 출품해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4.jpg
4. 내수와 수출을 병행하고 있는 로코앤엘리바스(대표 이창호), 18K골드주얼리, 예물, 패션, 팔찌, 커플링, 플래티넘주얼리 등을 출품했다.
 
5.jpg
5. 골드와 실버제품을 수출하기 위해 홍콩전시회에 처음 출전한 골드엔실버(GNS)의 김현석 이사와 차은채 디자이너.
 
6.jpg
6. 진주얼리의 정진수 대표, 올해 3, 6, 9월 홍콩쇼 모두 참여했다. 테니스팔찌, 목걸이, 귀걸이 등 18K 마운틴제품을 전문으로 빨리 수출전문기업으로 성장하는 것이 꿈이라고 한다.
 
7.jpg
7. 젬에이스 조욱상 대표, 파인주얼리에서 패션주얼리까지 생산과 유통을 전문으로하는 주얼리전문기업이다. 내수는 TV홈쇼핑을 통해, 수출은 전시회를 통해 판매를 한다.
 
8.jpg
8. 코아주얼리의 백경학 회장, 자타가 공인하는 한국의 대표적인 주얼리 수출전문기업이다. 매년 한국관 맨 앞에 자리해서 바이어들을 끌어들이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올해는 골드주얼리 뿐만 아니라 실버관에 별도의 부스를 마련해 그동안 개발해 온 실버제품을 선보여 고객들로부터 많은 인기를 얻었다.
 
9.jpg
9. LF Co(대표 임영규)와 Da Ha(대표 이호), 한국관의 초창기 멤버로 골드주얼리와 실버주얼리를 출품했다.
 
10.jpg
10. 레몬(대표 홍성기)은 해외시장 진출에 남다른 의욕을 보이면서 해외 전시회 참가를 확대해 나가고 있다. 반지, 메달, 귀걸이 등 18K 마운틴 제품을 선보였다. 
 
11.jpg
11. 세미성(대표 이영미)이라는 브랜드로 지난 98년부터 홍콩쇼에 참여, 브랜드 제품에 대한 인식변화가 시장에서 좋은 평가를 받고 있다. 디자이너브랜드는 반제품이 아닌 완제품 판매여서 부가가치가 높다. 내수와 수출을 병행하는 것이 안정적이라고 한다.
 
12.jpg
12. 국내 기업으로는 유일하게 3층 프리미엄관에 독립부스로 참가한 젬브로스(대표 홍상규), 다이아몬드를 비롯한 천연유색보석을 선보였다. 그동안 마운틴제품으로 출품하다가 4년 전부터 완제품으로 출품해 좋은 성과를 거두고 있다고 한다.
 
13.jpg
13. 국내 감정원으로는 유일하게 우신보석감정원(대표 오선주)이 부스참가를 했다. 세계적인 글로벌감정원으로 발돋움하기 위한 방안의 일환으로 전시회에 참여해 경험을 축적하고 다양한 형태의 정보교환과 교류는 물론 적극적인 홍보와 함께 약식감정도 했다. 
 
14.jpg
14. 국내 업체로는 유일하게 해피메신저라는 브랜드로 진주관에 부스참가 한 행복주보(대표 성흥경), 산호를 비롯한 남양진주, 호박 등을 선보였다.
 
15.jpg
15. 아시아관에 참가한 극동보석은 ‘키에라’라는 브랜드로 독립부스로 참가했다.
 
16.jpg
16. 한미보석감정원(원장 김영출)의 최현민 팀장은 국내 최초로 홍콩전시회가 열린 홍콩컨벤션센터 세미나룸에서 남양진주의 방사능 처리에 대한 연구결과를 발표함으로써 한국보석감정업계의 위상을 크게 높였다.
 
17.jpg
17. 익산시 이한수 시장을 비롯한 시의회 의원과 관계자들은 익산시가 추진하고 있는 삼기주얼리공단 유턴기업 유치의 일환으로 홍콩주얼리쇼가 열리고 있는 전시장을 둘러보고 한국관을 방문해 참가업체들을 격려했다.
 
18.jpg
18. GOLD 와 DIAMOND JEWELRY를 전문으로 디자인, 제조 ,수입, 수출하는 비크 조이엘리(왼쪽부터  정혜원, 정용선 대표)는 부가가치가 높은 다이아몬드 완제품의 비율을 점차 늘려 홍콩뿐만 아니라 비첸자, 두바이, 일본 등 해외 주얼리페어에 지속적으로 참가하고 있다.
 
19.jpg
19. 태국관은 지난해 383개 업체에서 올해 396개 업체로 13개가 늘었으며, 홍콩과 더불어 중국바이어들의 발길이 잦았던 국가관으로써 주얼리 업체의 발전 잠재력이 높은 곳으로 평가되고 있다.
 
20.jpg
20. 28,000여명의 종업원 규모를 가지고 있는 이집트의 Asfour Crystal는 이집트문화를 여실히 보여주는 디스플레이와 크리스탈로 세팅된 미라상을 전시해 참관객의 탄성을 자아냈다.
 
???.jpg
21. 다이아몬드, 진주, 컬러스톤 등 주얼리의 원자재로 사용하는 보석들이 즐비하게 전시된 아시아월드엑스포
 
??.jpg
 
???.jpg
22. 이번 페어에서는 진주관련 미니 주얼리 퍼레이드가 참관객의 시선을 끌었다. The Japan Pearl Promotion Society & Japan Pearl Exporters' Association과 옐로우진주 주얼리 제품으로 유명한 주얼머가 퍼레이드에 참여해 영롱한 진주 주얼리의 신제품들을 선보였다.
연관검색어
[작성일 : 2013-10-04 17:36:02]
목록

댓글작성 ㅣ 비방,욕설,광고 등은 사전협의 없이 삭제됩니다.

작성자 비밀번호

비밀번호  
포토뉴스
더보기
월간이슈
더보기